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 봄이 왔으나 봄답지가 않다)이란 글귀를 떠올려 보았다. 입춘도 우수도 지났으니 절기상은
봄인데 이렇듯 눈이 펄펄 날리고 있으니 말이다. 하긴 봄에도 폭설이 내리는 것을 우리는 흔히 보아왔지 않은가..
봄이 오긴 했으나 매서운 추위가 봄같지 않게 느껴질 때,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란 말을 우리는 쓴다.
그러나 그 어원은 다른 데서 연유하고 있다.
중국 전한시대, 출중한 미색의 여인 왕소군(王昭君)이 한(漢)나라 원제의 궁녀로 들어갔음에도 불구하고 궁정화가
모연수란 자에게 뇌물을 주지 않아 초상화를 일부러 잘못 그려줌으로써 왕의 총애를 받지 못하고 흉노족의 우두머리
호한야에게 시집을 가야했던 왕소군의 서글픈 심경을 당나라의 시인 동방규가 대변하여 시로 읊은 데서 연유한 것이라고 한다.
즉 흉노를 오랑캐에 비유하여, '오랑캐 땅에는 꽃과 풀도 없으니(胡地無花草)' '봄이 와도 봄 같지가 않구나(春來不似春)'라고
당나라 시인인 동방규는 왕소군의 서글픈 심정을 묘사하였다고 한다.
당시 한(漢)나라 원제는 호색한으로 신임했던 모연수의 초상화를 보고 궁녀들을 택일했었는데 나중에 모연수의 이런 간계를
알고는 모연수를 참수하게 된다.
이야기가 엉뚱한 곳으로 빗나가고 말았다.
반가운 춘설이지만 눈발이 점점 더 굵어지며 흣날리는 날씨에 시계가 흐려 사진 촬영은 어려웠지만 기분은 무척 상쾌하다.
다음은 춘설 속에 창경궁 식물원의 꽃소식을 몇컷 덤으로 담아본 것이다. (촬영일시 : 21년 02월 19일)
▼ 봄눈 내리고 있는 창경궁 식물원 ▼
▼ 흰진달래 ▼
▼ 진달래꽃 ▼
▼ 홍천조(명자나무꽃) ▼
▼ 영춘화 ▼
▼ 장수매 ▼
▼ 섬백리향 ▼
▼ 골담초 ▼
▼ 춘란 ▼
▼ 독도 땅채송화 ▼
▼ 설화.. ㅎ ▼
'◇ 기타사진영상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망울이 예쁜 소쩍새 (30) | 2025.03.09 |
---|---|
밤의 요정 쇠부엉이 (28) | 2025.03.08 |
어느덧 입춘이 지나고 - 설중화(雪中花) 복수초(福壽草) (25) | 2025.03.06 |
고니들의 귀향행렬 - 부디 먼 길 무사히!! (28) | 2025.03.05 |
핸폰사진일기 - 우리집 발코니에 핀 동백꽃 (27)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