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기간 : 19 년 07 월 24 일 ~ 08 월 01 일 (7박 9일)
여행코스 : 러시아 시베리아 바이칼, 몽골
여행방법 : 롯데관광 패키지여행상품을 따라
바이칼호는 동시베리아 남부의 세계에서 가장 깊은 내륙호로 최고수심 1,620m이며 길이 636㎞, 평균너비 48㎞,
면적 3만여㎢로 우리나라 남한 면적의 1/3 에 해당하는 넓은 호수이다.
지표상에 있는 담수의 약 1/5을 수용할수 있는 호수로 336개의 강이 이 호수로 흘러들어오고 단 하나의 강(안가라 강)만이
육지로 흘러나간다고 한다.
지각변동이 심한 지역으로 호수와 호수 주변에는 생태계의 다양성이 확보되어 있고 인근 지역에서는 광업과 온천 등
지질학적 특성에 바탕을 둔 산업이 발달해 있다고 한다.
바이칼은 우리 역사와 문화의 뿌리와 밀접한 곳이라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
하지만 이러한 학계의 가설과 상관없이 확실한 것은 바이칼호 주변일대의 문화적 토양이 우리의 토착 문화적 그것과
너무도 유사성이 많다고 하는 근원적 친연성이다.
특히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성지(聖地)라 일컬어지는 바이칼 알혼섬은 역사적으로 코리(Khori)부리야트족의 고향으로 알려져있고
이 코리족이라는 바이칼 원주민은 고구려의 조상인 북부여족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바이칼은 문학의 소재, 무대로도 많이 등장한다.
러시아 문학에는 바이칼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작품들이 많다고 한다.
시베리아 유배문학의 효시라 일컬어지는 17세기 정교 사제 아바쿰의 ‘아바쿰 자서전’은 시베리아 유배 9년의 세월을
지옥과 같은 곳으로 표현했지만 귀환 명령을 받은 후 그의 눈에 비쳐진 바이칼호와 시베리아는 풍요의 땅, 아름다운 자연으로 변한다.
19세기 도스토예프스끼와 똘스또이 등 러시아 문호들의 작품 속 주인공들도 시베리아 유형을 통하여 거듭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춘원 이광수의 말년작품 ‘유정’도 시베리아와 바이칼을 배경으로 한 작품이라고 한다.
그곳을 약소민족의 부활과 상생의 이미지로 그리고 있으며 새로운 생명력을 확산시키는 유토피아적 대지로 시베리아를 보았던 것이다.
드넓은 시베리아의 초원, 울창한 타이가(Taiga) 삼림이 주는 아름답고 장쾌한 대륙적 풍광은 바이칼 주변에도 드넓게 펼쳐지고 있다.
몽골은 동북 아시아 내륙에 있는 국가로 수도는 울란바토르, 러시아, 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국토면적 160 여만㎢(남한 면적의 16배), 인구 300 여만 명으로 세계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나라 가운데 하나이다.
몽골은 평균 고도가 해발 1,585m에 이르는 고지대 국가이며, 고지대 초원, 준사막, 사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13세기에 아시아 대륙을 통일했던 칭기즈 칸 이후, 원제국을 수립한 민족의 후예로 이루어졌으며,
20세기 초 사회주의 국가가 수립되어 소련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었으나 지금은 사회주의 노선을 포기하고 이원집정부제 헌법을
채택한 이후 정치, 경제적 개혁을 단행하고 한국과도 밀접한 선린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수도 울란바토르, 텔레지국립공원을 중심으로 돌아본 끝없는 초원, 그 목가적인 풍광이 참으로 특별하고 아름답다.
시베리아 횡단열차(TSR)를 타고 드디어 시베리아 대륙을 횡단하는 날이다. 시발지(모스크바)에서 종착지(블라디보스토크)까지는
장장 9천여 km에 7박 8일이 걸린다는 시베리아 횡단철도 중 러시아 이르쿠츠크에서 몽골 울란바토르까지 23시간을 타고 가는 여정이다.
좀더 자세히 말하면 이르쿠츠크에서 TSR을 타고 가다가 울란우데에서 몽골 종단선으로 노선을 바꾸어 몽골 울란바토르까지 가는 것이다.
물론 침대열차(1실 4인, 1.2층 침대)라지만 아주 비좁은 공간에 러시아에서 몽골 진입시 열차내에서 러시아 출국수속과 몽골 입국수속을
잠을 자야할 시간대에 함께 밟아야 하기 때문에 잠깐 눈을 부칠 수 있을까말까 제대로 잠을 잘 수 없는 고된 여정이다.
차창 밖엔 시베리아의 장대한 풍광이 펼쳐지고 있는데 계속 비가 내리고 있어 빠르게 달리는 열차에서 빗물방울까지 달라붙은 차창으론
그 멋진 풍경들을 대충이나마 카메라에 담아내기가 쉽지 않은 것도 못내 아쉽다.
열차는 우리의 출발지인 러시아 이르쿠츠크에서부터 2시간이나 연착 연발하여 25시간을 달린 후에야 몽골 울란바토르에 도착하였다.
비록 여정은 고닲았지만 말로만 듣던 시베리아 횡단열차를 타고 드넓고 장대한 평원을 밤낮 구분 없이 25시간 달린다는 것..
이 얼마나 오래도록 추억에 남을 낭만적인 여정인가..^^
▼ 우중에 달리는 열차에서 바라본 풍경 - 바이칼 주변을 돌아가고 있는 우리 열차의 앞부분 ▼
다음 사진 11 장은 러시아 이르쿠츠크에서부터 몽골 울란바토르에 이르기까지 시베리아 횡단구간과
몽골 종단 구간에서 가까스로 담아본 차창밖 풍경이다.
▼ 유르(yurta-러시아어), 게르(ger-몽골어) 목축동물들이 함께 어울어져 있는 평화로운 풍경 ▼
유르나 게르는 중앙 아시아나 몽골의 유목민이 거처하는 천막 같은 집을 말한다. .
▼ 드넓은 초원에서 풀을 뜯는 목가적인 풍경 ▼
▼ 비좁은 침대열차 복도 ▼
이 비좁은 통로 창을 통해서 몇장의 차창밖 풍경을 담아보았다
▼ 침대칸(1실 4인, 1.2층 침대) ▼
한쪽에 1.2층 침대가 비좁은 공간 양쪽으로 마주 보며 있다
▼ 열차내 식사가 불편하고 부실하다 ▼
24시간 이상을 견디려면 기차 타기전 사전에 별도로 준비하는 것이 좋다 - 더운 물은 열차내 상시 준비되어 있다
▼ 우리가 탄 시베리아 횡단열차 - 울란우테역에서 잠시 정차 시간을 이용해서.. ▼
▼ 비는 내리는데 출발역인 이르쿠츠크 역사가 초만원이라 들어갈 수가 없다 ▼
▼ 30 여분 지나 일부 승객이 떠난 뒤 가까스로 들어가니 그래도 역사는 초만원..ㅎ ▼
▼ 업친데 덥친 격 - 열차가 2 시간 연착이라는데 앉아 기다릴 자리가 없다 ▼
할수 없이 계단 복도에 주저앉아 2시간 이상을 기다린다 - 여행이란 이런 것..집을 나서면 고생은 필수..ㅎ
▼ 이르쿠츠크 역사 ▼
▼ 자료 사진 ▼
시베리아 횡단열차(TSR)가 바이칼을 끼고 달리고 있다
비만 오지 않았다면 이렇듯 더욱 낭만적이었을텐데.. 못내 아쉽다..^^
▼ 시베리아 철도 노선도 ▼
'◇ 해외여행일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칼, 몽골 여행일기 24 - 몽골, 테를지 국립공원 ② (25) | 2025.04.04 |
---|---|
바이칼, 몽골 여행일기 23 - 몽골, 테를지 국립공원 ① (24) | 2025.04.03 |
바이칼, 몽골 여행일기 21 - 이르쿠츠크, 카잔 성당 (40) | 2025.03.18 |
바이칼, 몽골 여행일기 20 - 바이칼의 일출과 일몰 (23) | 2025.03.17 |
바이칼, 몽골 여행일기 19 - 알혼섬 북부 투어, '순테-레비 곶' (37)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