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해외여행일기 ◇

바이칼, 몽골 여행일기 1 - 여행을 시작하며

여행기간 : 19 년 07 월 24 일 ~ 08 월 01 일 (7박 9일) 
여행코스 : 러시아 시베리아 바이칼, 몽골  
여행방법 : 롯데관광 패키지여행상품을 따라

바이칼호는 동시베리아 남부의 세계에서 가장 깊은 내륙호로 최고수심 1,620m이며 길이 636㎞, 평균너비 48㎞,
면적 3만여㎢로 우리나라 남한 면적의 1/3 에 해당하는 넓은 호수이다.
지표상에 있는 담수의 약 1/5을 수용할수 있는 호수로 336개의 강이 이 호수로 흘러들어오고 단 하나의 강(안가라 강)만이
육지로 흘러나간다고 한다.
지각변동이 심한 지역으로 호수와 호수 주변에는 생태계의 다양성이 확보되어 있고 인근 지역에서는 광업과 온천 등 
지질학적 특성에 바탕을 둔 산업이 발달해 있다고 한다.
바이칼은 우리 역사와 문화의 뿌리와 밀접한 곳이라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
하지만 이러한 학계의 가설과 상관없이 확실한 것은 바이칼호 주변일대의 문화적 토양이 우리의 토착 문화적 그것과 
너무도 유사성이 많다고 하는 근원적 친연성이다. 
특히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성지(聖地)라 일컬어지는 바이칼 알혼섬은 역사적으로 코리(Khori)부리야트족의 고향으로 알려져있고
이 코리족이라는 바이칼 원주민은 고구려의 조상인 북부여족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바이칼은 문학의 소재, 무대로도 많이 등장한다.
러시아 문학에는 바이칼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작품들이 많다고 한다.
시베리아 유배문학의 효시라 일컬어지는 17세기 정교 사제 아바쿰의 ‘아바쿰 자서전’은 시베리아 유배 9년의 세월을 
지옥과 같은 곳으로 표현했지만 귀환 명령을 받은 후 그의 눈에 비쳐진 바이칼호와 시베리아는 풍요의 땅, 아름다운 자연으로 변한다.
19세기 도스토예프스끼와 똘스또이 등 러시아 문호들의 작품 속 주인공들도 시베리아 유형을 통하여 거듭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춘원 이광수의 말년작품 ‘유정’도 시베리아와 바이칼을 배경으로 한 작품이라고 한다. 
그곳을 약소민족의 부활과 상생의 이미지로 그리고 있으며 새로운 생명력을 확산시키는 유토피아적 대지로 시베리아를 보았던 것이다.
드넓은 시베리아의 초원, 울창한 타이가(Taiga) 삼림이 주는 아름답고 장쾌한 대륙적 풍광은 바이칼 주변에도 드넓게 펼쳐지고 있다.

몽골은 동북 아시아 내륙에 있는 국가로 수도는 울란바토르, 러시아, 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국토면적 160 여만㎢(남한 면적의 16배), 인구 300 여만 명으로 세계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나라 가운데 하나이다.
몽골은 평균 고도가 해발 1,585m에 이르는 고지대 국가이며, 고지대 초원, 준사막, 사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13세기에 아시아 대륙을 통일했던 칭기즈 칸 이후, 원제국을 수립한 민족의 후예로 이루어졌으며,
20세기 초 사회주의 국가가 수립되어 소련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었으나 지금은 사회주의 노선을 포기하고 이원집정부제 헌법을 
채택한 이후 정치, 경제적 개혁을 단행하고 한국과도 밀접한 선린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수도 울란바토르, 텔레지국립공원을 중심으로 돌아본 끝없는 초원, 그 목가적인 풍광이 참으로 특별하고 아름답다.

7/24일 18시 10분발 KE 항공편으로 인천공항을 출발 러시아 이르쿠츠크를 향하여 하늘을 날고 있다.
이슬비 오락가락 하는 궂은 날씨를 뚫고 하늘 높이 진입하니 파란 하늘에 하얀 구름이 변화무상하게 그 모습을 바꾸며
발 아래 아름답게 펼쳐지고 있다. 3시간 정도 지났을까 목적지를 1시간 30분여 앞두고 서쪽하늘이 붉게 물들고 있다
목적지에 일몰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르쿠츠크와 한국의 시차는 이르쿠츠크가 1시간 느린 시차를 보이고 있다.
북극권에 가까워서일까..일몰시간도 한국보다 1시간 이상 느리고 일출시간은 1시간 이상 빠르다고 한다.